LUCY/· 엑셀공부75 엑셀 - 마이너스 값 빨간색으로 표시하는 방법 숫자 마이너스 값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. ▲ 다 검정. A를 눌러 모두 선택하고 우클릭 ▲ 셀 서식 ▲ 빨간 글자 선택. ▲ 끝. 다른 방법도 있어요. ▲ 조건부 서식 - 새 규칙 ▲ 다음을 포함한 셀만 서식 지정에서 특정 텍스트 > 포함 > - 를 입력하고 서식 클릭 ▲ 글꼴 - 색 - 빨강 ▲ 규칙 설정 완료 ▲ 됨. 또 다른 방법으로는~ ㅎㅎ; ▲ 포함 값에서 "셀 값 < 0" 셀 값이 0 보다 작다로 설정하고 서식에서 글자 색을 빨강으로 합니다. ▲ 방법은 아주 다양해요. 우클릭 - 셀 서식이 가장 쉽다. 2021. 11. 25. 엑셀 - 같은 열에 입력한 값 드롭 메뉴로 보기 열이 아주 길다. 아래에 위 값 중 똑같은 값을 넣어야 하는데 내용이 길거나 까먹었다. 그래서 복붙으로 넣어야 하는데 열이 너무 길어서 찾기도 귀찮다. 그럴 때 단축키를 누르다. ▲ Alt + ↓을 누르면 드롭 메뉴로 이 열에 입력한 모든 값이 나온다. 만약 ▲ 입력하고 싶은 값의 첫 글자를 알고 있다면 첫 글자만 입력했을 때 뒤에 글자는 자동으로 입력 된다. 2021. 11. 18. 엑셀 - 열 통째로 순서 바꾸는 방법 ABC 열 순서를 바꾸는 방법. 잘라내기와 붙여 넣기를 이용해도 되지만 좀 더 간지나게 해 보자. ▲ 이런 내용이 있다. 참고로 병합으로 셀 모양이 다르면 할 수 없다. ▲ 먼저 위에 줄을 하나 추가하고 바꾸려는 순서를 적어준다. 그리고 값을 선택한다. 이 숫자가 정렬 기준이 되는 것이다. ▲ 데이터 - 정렬 ▲ 선택 영역 확장. ▲ 선택을 기준으로 모든 영역이 확장된다. ▲ 옵션에서 ▲ 열 순서이므로 왼쪽에서 오른쪽 ▲ 기준은 1행이겠지요. 정렬 기준을 잘 이용하면 다른 값으로도 순서를 바꿀 수 있다. ▲ 적용하면 이렇게 순서가 바뀐다. 아주 유용하다. 2021. 11. 15. 엑셀 - 숫자 0 값이 표시 되지 않을 때 ↪ 옵션 ↪ 고급 - 이 워크스트의 표시 옵션 - '0 값이 있는 셀에 0 표시' 체크 ↪ ㅇㅇ 2021. 11. 9. 엑셀 - 빈셀과 값이 있는 셀의 ctrl+a 차이 ▲ 빈셀을 선택하고 ctrl+a(모두선택)는 ▲ 모~든 셀을 선택한다. ▲ 값을 선택하고 ctrl+a하면 ▲ 값이 있는 셀을 모두 선택한다. 2021. 11. 2. 엑셀 - 빠른 실행 도구 추가하는 방법 ▲ 엑셀 로그 옆에는 '빠른 실행 도구'가 있어요. 원하는 기능을 등록해서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. ▲ 저는 자동 합계를 자주 사용합니다. 우클릭 - '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축가' ▲ 그럼 이렇게 추가됩니다. 쉽죠? 삭제는 ▲ 우클릭 - 제거 ▲ 빠른 실행 도구를 마음대로 편집해 봐요. ▲ 왼쪽 메뉴를 오른쪽에 추가하고 순사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▲ 빠른 실행 도구를 따로 빼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. 우클릭 - '리본 메뉴 아래에...' ▲ 그럼 이렇게 도구들 아래에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이 생깁니다. 엑셀 로그 옆보다 이게 더 편한 것 같습니다. 2021. 11. 1. 엑셀 - 취소선 ↪ 엑셀에는 취소선이 없나? 한참을 찾아도 음따. 엑셀샘한테 물어보니 ↪ 셀 서식 ↪ 글꼴 - 취소선 ↪ 블로그 에디터에 흔하게 있는 취소선이 엑셀에는 왜 저렇게 어려운 곳에 있나? 한다. 2021. 10. 30. 엑셀 - 중복값 붙여넣기 여러가지 방법 1. Ctrl + Enter ▲ 중복값을 넣을 셀을 모두 선택 ▲ 중복값 쓰고 컨트롤 + 엔터 2. 복사 다중셀 선택 붙여넣기 ▲ 중복값을 쓴다. 복사. ▲ 값을 붙여넣을 셀을 모두 선택 ▲ 붙여 넣기 3. 마우스 드래그 연속값 넣기 이용 ▲ 중복값을 쓴다. 셀 가장자리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+ 표시가 나온다. ▲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쭉~ 땡기면 ▲ 모든 셀에 중복값이 들어간다. 이 방법은 연속 값을 쓸 때 사용하던 거다. ▲ 이렇게 뒤에 숫자가 있으면 ▲ 자동으로 숫자가 들어가는 기능이다. 2021. 10. 29. 엑셀 - 숫자 천단위 ',' 넣기 숫자 천단위 당 , 넣는 방법 3가지. ▲ 위 메뉴에 , 를 누르면 된다. ▲ 셀 서식에서 ▲ 숫자 - 1000단위 구분 기호 사용을 선택한다. ▲ 아님 사용자 지정에서 #,### 쓰면된다. 2021. 10. 28. 엑셀 - 자동 줄번호 넣는 방법 열과 행에 자동으로 줄번호를 얻는 방법입니다. ▲ 열의 번호를 그대로 불러오면 됩니다. 1번 줄에는 "줄번호 자동 넣기"라는 값이 있으니 줄번호에서 -1을 해야 합니다. 그러니 =ROW()-1이라고 씁니다. ▲ 그럼 줄번호 1이 생겼지요. 셀 가장자리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+ 표시가 나오고 마우스로 잡아 아래로 쭉~ ▲ 내리면 ▲ 내린만큼 줄번호가 들어갑니다. ▲ A 모두에 넣으려면 일단 줄번호가 들어간 셀을 복사. ▲ A열을 선택하고 ▲ A1을 컨트롤 클릭하여 선택을 취소합니다. ▲ 그럼 "줄번호 자동 넣기" 빼고 모두 선택되었습니다. 붙여 넣기~ ▲ 다 들어갔습니다. 중간에 열을 삭제해도 자동으로 번호가 정리됩니다. ▲ 만약 중간에 열을 삽입하면 빈칸이 나오는데 줄번호가 있는 셀의 가장자리를 잡고 내리.. 2021. 10. 26. 엑셀 - 여러 셀에 자동 합계 동시 적용 합계를 구할 때 계산기를 이용해도 되지만 양이 많을 때는 엑셀의 자동 합계 기능이 상당히 편하다. 소실적에 장사할 때는 항상 엑셀의 합계를 이용했다. ↪ A1~A5의 합계를 구할 때. 합계를 표시할 셀을 선택하고 ↪ 자동 합계를 누르면 ↪ 지가 알아서 합을 구한다. ↪ 그런데 옆에 셀도 합계를 구하고 싶을 때 위 과정을 반복하기란 상당히 귀찮다. 이럴때는~ ↪ 합계의 셀을 선택하고 마우스를 가장자리에 가져가면 + 표시가 나오고 ↪ 쭉~ 땡기면 ↪ 이렇게 자동 합계가 복사된다. 2021. 10. 24. 이전 1 ··· 3 4 5 6 7 다음